교육과정
교육일정
한국어정규과정은 문화체험을 포함하여 봄, 여름, 가을, 겨울 4개 학기 10주 과정으로 진행
구분 | 수업기간 | 수료식 |
---|---|---|
봄 | 3월~5월 | 5월 중 |
여름 | 6월~8월 | 8월 중 |
가을 | 9월~11월 | 11월 중 |
겨울 | 11월~2월 | 2월 중 |
※ 상기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
수업시간
주 5회(월-금), 1일 4시간 수업 진행
오전반 | 오후반 | ||
---|---|---|---|
교시 | 시간 | 교시 | 시간 |
1교시 | 09:00~09:50 | 1교시 | 13:00~13:50 |
2교시 | 10:00~10:50 | 2교시 | 14:00~14:50 |
3교시 | 11:00~11:50 | 3교시 | 15:00~15:50 |
4교시 | 12:00~12:50 | 4교시 | 16:00~16:50 |
수업구성
TOPIK 1급~6급 (1개반 15명~20명 구성)
구분 | 학습목표 | 수업교재 |
---|---|---|
1급반 | 자기 소개하기, 물건 사기, 음식 주문하기 등 생존에 필요한 기초적인 언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자기 자신, 가족, 취미, 날씨 등 매우 사적이고 친숙한 화제에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다. 약 800개의 기초 어휘와 기본 문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간단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. 또한 간단한 생활문과 실용문을 이해하고, 구성할 수 있다. |
· 서울대한국어 1A,1B · 자체 보조학습자료 |
2급반 | 전화하기, 부탁하기 등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능과 우체국, 은행 등의 공공시설 이용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. 약 1,500~2,000개의 어휘를 이용하여 사적이고 친숙한 화제에 관해 문단 단위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. 공식적 상황과 비공식적 상황에서의 언어를 구분해 사용할 수 있다. |
· 서울대한국어 2A,2B · 자체 보조학습자료 |
3급반 |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별 어려움을 느끼지 않으며 다양한 공공시설의 이용과 사회적 관계 유지에 필요한 기초적 언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. 친숙하고 구체적인 소재는 물론, 자신에게 친숙한 사회적 소재를 문단 단위로 표현하거나 이해할 수 있다. 문어와 구어의 기본적인 특성을 구분해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. |
· 서울대한국어 3A,3B · 자체 보조학습자료 |
4급반 | 공공시설 이용과 사회적 관계 유지에 필요한 언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, 일반적인 업무 수행에 필요한 기능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다. 또한 뉴스, 신문 기사 중 비교적 평이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. 일반적인 사회적 · 추상적 소재를 비교적 정확하고 유창하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. 자주 사용되는 관용적 표현과 대표적인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 · 문화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. |
· 서울대한국어 4A,4B · 자체 보조학습자료 |
5급반 | 전문 분야에서의 연구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언어 기능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으며 정치, 경제, 사회, 문화 전반에 걸쳐 친숙하지 않은 소재에 관해서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. 공식적 · 비공식적 맥락과 구어적 · 문어적 맥락에 따라 언어를 적절히 구분해 사용할 수 있다. |
· 서울대한국어 5A,5B · 자체 보조학습자료 |
6급반 | 전문 분야에서의 연구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언어 기능을 비교적 정확하고 유창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정치, 경제, 사회, 문화 전반에 걸쳐 친숙하지 않은 주제에 관해서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. 원어민 화자의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나 기능 수행이나 의미 표현에는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. |
· 서울대한국어 6A,6B · 자체 보조학습자료 |
※ 한국어능력시험(TOPIK) 평가 기준, 주차별 강의계획 별도 안내